아가書를 쓰기 前 아가書에 대한 要約을 찾아 읽어 보았음에도
이해하기 어려운 句節들이 대부분이라 어려웠어요
그러나 主님의 말씀은 어떠한 內容이던 間에 하나님께서 命하여 記錄하게 하신 것을
믿기 때문에 어렵지만 아름다운 사랑의 노래라 생각하고 마친 後 다시금
아가書를 보는 이들을 爲해 아래 內容을 덧 붙힙니다
아가서란 이름은 히브리 성경 첫머리 글자를 직역한 것으로 '아름다운 노래' 란 뜻을 담고있다. 이 책은 매년 유월절 제8일째 되는 날 유대인들에 의해 낭송되었다. 본서는 한 남자(솔로몬)와 한 여인(슬람미 여인)의 깊고 순수한 사랑을 노래한 시다. 슬람미 여인은 솔로몬 왕 소유의 포도원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왕이 그곳을 방문했을 때 사랑에 빠져 왕궁으로 데려와 아내로 삼았다.
저자: 솔로몬
기록시기: BC 970~ 960년경
아가서의 사랑 이야기를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적 관계에 대한 은유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들에 의하면 아가서에 등장하는 신랑은 하나님이며, 이스라엘의 백성은 그의 신부이다. 이러한 사상은 이스라엘에서만 발견된다. 아가서에 “하나님” 혹은 “여호와”라는 말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지만, 유대인들이 모일 때마다 아가서를 애송하는 것은 바로 아가서에 반영된 독특한 이스라엘의 언약신학 때문이다.
아가서의 히브리어 제목은 “쉬르 하쉬림”이다. 이 말을 직역하면 “노래들의 노래”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라는 뜻이다. 유대인의 예배에서 가장 중요한 책 아가서는 출애굽과 시내산 언약을 기념하는 유월절 집회에 낭송되었다.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사건이 유월절이라는 점을 상기하면 아가서가 유월절의 주제 본문이라는 사실은 아가서가 이스라엘의 신학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아가서는 매주 행해지는 예배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매주 안식일 준비 예배 때 아가서가 고정 본문으로 낭독된다.
아가서가 유대인의 예배의식에서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이유는 유대인들이 아가서의 사랑 이야기를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적 관계에 대한 은유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들에 의하면 아가서에 등장하는 신랑은 하나님이며, 이스라엘의 백성은 그의 신부이다. 이러한 사상은 이스라엘에서만 발견된다. 아가서에 “하나님” 혹은 “여호와”라는 말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지만, 유대인들이 모일 때마다 아가서를 애송하는 것은 바로 아가서에 반영된 독특한 이스라엘의 언약신학 때문이다.
히브리 성경에서 아가는 절기 때에 읽혀지는 5대 문서인 "메길롯"(아가, 룻기, 애가, 에스더, 전도서)에 속한 문서. 히브리인들은 아가서를 유월절에 읽었는데, 그 이유는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해 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기억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 책에는 노골적인 성적인 묘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정경에 포함시킬 것인 지를 놓고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결국에는 저자가 솔로몬이며, 아가서가 남녀간의 사랑을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받아들였기 때문에 결국 정경에 포함되게 되었다.
유대인들은 아가서를 "부부간의 사랑"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는 책으로 이해했다. 그래서 그들은 이 책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정해 주신 부부 생활의 축복을 발견하려고 했다. 유대인들은 이 책을 성인이 되기 전에는 읽지 못하게 했다.
기독교인들은 유대인들과 같이 솔로몬을 예수 그리스도로, 그리고 술람미 여인을 교회를 말하는 것으로 보고 아가서를 해석하였다. 우리는 각자가 솔로몬을 예수 그리스도로, 그리고 술람미 여인을 자기 자신을 말하는 것으로 보고 아가서를 해석할 수 있다.
아가서 내용 요약
솔로몬에게는 예루살렘 북쪽의 어느 시골에 포도원이 있었다. 솔로몬은 이 포도원을 두 아들과 한(두)딸을 둔 한 과부에게 소작을 주었다
이 과부의 딸이 바로 아가서의 여주인공이었으며, 그녀의 이름은 "술람미"였다. 그녀는 아름다웠지만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시골 여인이다. 그녀는 미운 오리 새끼나 신데렐라처럼 오빠들의 학대를 받았다. 오빠들은 그녀를 여자로서 아름답게 가꾸는 일을 할 시간을 주지 않았다.
다음 두 가지 견해를 따라 아가서롤 해석할 것.
사랑의 노래: 아가서를 하나님께서 세워 주신 남녀간(또는 부부간의) 아름다운 사랑과 그 축복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아가서를 해석할 수 있다.
모형적인 해석: 아가서를 해석할 때에 솔로몬은 하나님(또는 그리스도)를 상징하고 있으며, 술람미 여인은 교회(또는 각 성도들)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고, 해석할 수 있다.
[출처] 아가서, 아가서 장별요약|작성자 서다니엘
'傳道書,雅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 8장 1~14 (0) | 2022.04.16 |
---|---|
아가 7장 1~13 (0) | 2022.04.15 |
아가 6장 1~14 (0) | 2022.04.15 |
아가 5장 1~16 (0) | 2022.04.15 |
아가 4장 1~16 (0) | 2022.04.15 |